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분사구문 개념, 다양한 구조와 해석

by Lio English 2024. 2. 24.

 

영어를 독학하는 수험생을 위해 분사구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문법을 이해하기 위해선 사용하는 이유 즉, 개념을 알고, 그에 따른 구조와 해석을 배운 후, 그 밖의 주의사항을 학습학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에 맞춰 분사구문의 사용이유, 구조, 해석, with 분사구문, 관용적 분사구문 마지막으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사구문 소개 이미지
분사구문 설명 이미지

목차

    분사구문 개념

    분사구문의 사용 이유와 개념을 배우기 전에 아래의 한글 문장을 먼저 보겠습니다.

    나는 밥을 먹는 동안, 나는 유튜브를 본다.

     

    한국 사람이라면 이 문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딘가 비효율적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고치고 싶을 것입니다.

    밥을 먹는 동안, 나는 유튜브를 본다.

     

    밥을 먹는 주체와 유튜브를 보는 주체가 '나'로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한국말에서 간단하게 줄여서 말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우리말이 그러하듯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줄여서 사용하는 것을 좋할 것입니다.

     

    이 태도는 제가 영어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 중 하나입니니다.

     

    이렇게,

    '~동안'처럼 영어에서 접속사가 사용된 문장을 간단하게 줄여서 말하는 것이 바로 '분사구문'입니다.

     

    그러면,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분사구문 사용 이유를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접속사가 사용된 문장을 간단하게 줄여서 말하는 방법"

     

    그렇다면, 영어에서 접속사가 사용된 문장의 구조를 알아야겠죠? 그 구조는 다음과 같아요.

    접속사 + 주어 + 동사 ~ , 주어 + 동사 ~

     

    이 구조에 맞춰서, 위에서 사용했던 문장을 그대로 영작해보겠습니다.

    While I have a meal, I watch a Youtube video.

     

    분사구문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 이미지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 이미지

    1. 접속사 생략 여부 결정

     

    사진 1번에서 설명한 대로 다른 의미의 접속사가 사용된 경우 즉, 생략되면 의미를 쉽게 알지 못하는 경우에 그리고, 사용된 접속사를 강조하고 싶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생략합니다.

     

    이 글에서는 배우는 단계이므로 생략해보겠습니다.

    I have a meal, I watch a Youtube video.

    2. 두 문장의 주어 확인 후 생략여부 결정

     

    다시 한 번 상기하면, 분사구문은 문장을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장에서 동일한 주어가 2번 나온다면 1개만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므로,

    접속사로 이어진 문장의 주어가 동일하면 주어를 생략합니다.

    (주의 및 참고 사항 : 두 문장의 주어가 서로 달라서 주어를 생략하지 않은 문장을 '독립 분사구문'이라 부릅니다.)

    Have a meal, I watch a Youtube video.

    3. 접속사가 있던 문장의 동사를 현재분사(~ing)형태로 변형시킵니다.

     

    접속사와 주어가 사라졌기 때문에 더 이상의 동사는 등장할 수 없게됩니다.

    그러므로, 동사를 그대로 놔둔다면 영어의 절대 규칙인 '한 문장에 동사 1개'가 깨집니다.

    그래서, 준동사의 형태로 변형시켜줘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준동사가 바로 현재분사 (~ing)입니다.

    Having a meal, I watch a Youtube video.

    이렇게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구조와 해석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조와 해석

    분사구문의 구조에 기초한 해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분사구문의 기본 구조와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위 사진 참고!)

    (N) -ing~ , S + V ~
    or
    S + V ~ , (N) -ing~

     

    위 구조를 가진 문장에서 -ing~덩어리의 해석은  기본적으로

    '~할 때','~하면서','~하기 때문에' 중에서 적절한 것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명사가 생략되지 않았다면 간단하게 'N가'라는 해석을 더해주면 됩니다.

    'N가 ~할 때','N가 ~하면서','N가 ~하기 때문에'

     

    예문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 Smiling, she came to me. → 웃으면서, 그녀가 내게 왔다.(~하면서)
    • I took off my shirt, being too hot. → 나는 셔츠를 벗었다. 너무 더웠기 때문에(~때문에)
    • Being a teacher, I was so happy. → 선생님이 되면서, 나는 너무 행복했다.(~하면서)
    • My dog going to sleep, I could read a book. → 내 개가 잠에 들면서, 나는 책을 읽을 수 있었다.(N가 ~하면서)

    분사구문 기본 구조와 해석을 알아봤는데,

    여기서 주의사항을 설명드리면서 한 가지 구조를 더 보여드리겠습니다.

    주의사항 : 분사구문의 'being'은 생략가능

     

    여기서 잠시만 생각해보겠습니다!

     

    being은 모두 알다시피 be동사의 ing 형태입니다.

    그렇다면, be동사 뒤에 나오는 덩어리들은 다음과 같죠.

    • be + 명사   (ex. I am a teacher.
    • be + 형용사   (ex. He is so handsome.
    • be + 전치사구   (ex. She is in the park.
    • be + p.p   (ex. I was happy.

    위 문장들이 분사구문의 형태로 사용된다면, being 생략되므로

    아래와 같은 구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N~) 명사구, S + V ~
    (N~)  형용사구, S + V ~
    (N~) 전치사구, S + V ~
    (N~) p.p~ , S + V ~

     

    해석

    위와 같은 문장 구조는 be동사가 생략된 것이므로,

    '~하다'라는 의미를 '~되다', '있다', '~이다'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예문

    • teacher, I was so happy → 선생님이 될 때(or 되면서 or 됐기 때문에), 나는 행복했다.
    • Happy, I smiled → 행복했기 때문에(or ~해 하면서 or 때), 나는 웃었다.
    • In the park, I was playing 공원에 있을 때, 나는 놀고 있었다.
    • Told it, she was shocked → 그것을 듣게 됐을 때(or 때문에 or 되면서), 그녀는 놀랐다.

    참고 : of ~ , S + V~ 구조에서 of는 ~중에서로 해석된다.

    ex. Of two boxes, I chose red one. (두 박스 중에서, 나는 빨강을 골랐다.)

     

    이렇게, 분사구문의 기본 구조being 생략된 구조를 살펴봤습니다.

    마지막으로 3번째 구조를 보겠습니다.

    접속사 (N) -ing~, S + V ~

     

    분사구문 만드는 방법에서 접속사를 생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했습니다.

    이럴때는 기본 해석이 아닌, 접속사의 의미를 살려서 해석하면 됩니다.

     

    being 생략도 고려해서 예문을 봐주세요!

     

    예문

    • If going there, you wil be happy. → 그곳에 간다면, 너는 행복할 거야. 
    • Althouhg tired, I kept running. 힘들지만, 나는 계속 달렸다.
    • while the dog sleeping, she read a book. → 개가 자는 동안, 그녀는 책을 읽었다.

    이렇게, 분사구문의 3가지 구조와 해석을 모두 알아봤습니다.

     

    1. 기본 구조와 해석

    2. being 생략으로 인한 구조와 해석

    3. 접속사가 남은 구조와 해석

     

    with 분사구문과 관용적 분사구문 보러가기